인스타 글을 본문에 넣는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아무래도 가끔은 쓸모가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 진행한 테스트 였는데, 인스타 본문 붙여넣기는 blockquote class 로 시작한다. 일반적으로 지원이 안되기 때문에 html 모드에서 해당 embed 를 붙여넣기하자, html 에서 삽입후 다시 Tinymice 로 돌아오면, 아래와 같이 Embed 가 정상적으로 적용 되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는데, 문제가 하나 있다. 바로 하단에 script / embed.js 라는 창이 하나 같이 보인다는 것이다. 이것이 얼마나 문제가 될까 싶어서 일단 글을 발행 해 보았더니 정상적으로 글이 발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티스토리 신규에디터에서 이걸 지우면??? 하단에 script / embed.js 라는 창을..
아마 가장 많은 사람들이 사용한다는 인터넷 속도측정 사이트 speedtest.net 은 국내의 개별적, 통신사 속도 측정 사이트 보다 훨씬 간편하고, 별도의 가입 필요없이, 플래쉬 나 액티브X 의 설치가 필요 없다는 점에서 전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하는 웹사이트 중 하나입니다. speedtest.net 페이지 바로가기 http://www.speedtest.net 이름을 몰라도 화면을 보면 알 수 있는 그 인터넷 테스트 페이지 speedtest.net 플래쉬 나 액티브X 가 필요 없다고는 하지만, 사실 이 speedtest.net 의 인터넷 속도측정은 플래쉬를 기반으로 작동하고 있기 때문에, 웹 브라우저에서 자동적으로 플래시 실행 옵션이 되어 있다면 실행되기 때문에 굳이 플래시 구동화면이 나타나지 않았던 ..
제가 사용하고 있는 pc 환경은 메인 데스크탑 한 대 와 노트북 한 대 그리고 코넥티아 m 스타일러스 태블릿, 스마트폰 2대 입니다. 물론 스마트폰은 예전에 쓰던 것과 지금 실사용 사용하고 있는 갤7 두 개 입니다 이렇게 여러가지 디스플레이가 있는 제품들을 사용 하다 보니까 한가지 의문이 들었습니다. 이중에서 하나 쯤은 메인 데스크탑과 연결 하여 서브 모니터 듀얼 모니터로 사용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죠. 그래서 검색을 해보니 아이패드 같은 경우는 듀엣 Duet 이라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아이패드를 서브 모니터로 사용할 수 있고, 안드로이드 같은 작품에는 iDisplay 나 투몬 같은 어플리케이션 사용하여 듀얼 모니터로 사용 할 수가 있는데ios 와 안드로이드 대부분 어플이 10달러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