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d 2016 문서 자동저장 및 자동복구 시간 설정 방법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워드 프로그램을 사용하다 보니 오류 발생시 자료가 뽜악!! 하고 날라가는 즐거움을 오랜만에 맛보았습니다. API 를 좀더 활용하자 라는 마음으로 워드 프로그램을 사용 중인데 이러면 사용하기 슬퍼지겠죠. 이번에는 마이크로소프트 워드에서 자동저장 시간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작성해보았습니다.

 

파일 – 옵션 을 설정 하면 하단과 같은 이미지를 옵션, 설정 창을 볼 수가 있습니다.

 

좌측에 보이는 저장 옵션을 클릭하면 다시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 설정할 것이 바로 자동 복구 정보 저장 간격(A) 입니다. 기본 설정이 10분으로 되어 있는데요. 10분에 한번씩 자동 저장되기에 자료를 날려 먹어도 10분전의 자료를 복구하여 작업을 계속 할 수 있는 좋은 기능입니다. 하지만, 빠르게 작업을 하다 보면 10분은 너무 머나먼 과거의 이야기가 될 수도 있죠. 그래서 이 수치를 1. 즉 1분으로 수정해 줍니다. 그럼 1분마다 자동 복구 정보 저장이 되기에 보다 안정적인 문서 작업 환경이 만들어 집니다.

다만 자동 저장 기능을 사용하고, 정보 저장 간격 시간이 짧을수록 메모리 RAM 사용이 조금씩 늘어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적은 용량의 메모리 환경에서는 적당한 시간 설정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네요.

 

 

워드 뿐 아니라, 수많은 문서 작성 프로그램, PPT 작성 프로그램, 그래픽 프로그램 등등 많은 프로그램이 자동 복구 정보를 저장하는 시스템이 있다고 하지만 가장 완벽하고 가장 좋은 백업 방법은 바로 손에 익어서 본능적으로 움직이는 Ctrl + S 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