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스턴디지탈(Western Digital, 이하 WD)에서 기존의 WD Black 보다는 조금 저렴하고 성능에서 타협을 본 보급형 M.2 NVMe SSD를 출시한다고 합니다, 사실 WD 의 다양한 라인업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제품군이 WD Blue 가 아닐까 생각하는데, Black의 고사양이 참 부럽고 탐나는 제품이긴 하지만, 이번에 WD Blue NVMe SSD SN500 의 출시로 인해 굳이 고사양의 유저가 아니더라도 기존 SSD보다 빠르면서 적당한 타협을 시도한 NVMe SSD 를 사용할 수 있게되었습니다. 이번에 출시한 WD Blue NVMe SSD SN500 제품의 경우 2.5인치 와 M.2 2280 규격에서만 판매되던 SATA III 6Gbps 인터페이스로의 WD Blue 라인업의 확장으로..
보통 시중에서 구매하게되는 외장하드는 대부분이 하드디스크 / HDD 로 주로 100~200Mb 정도의 초당 전송속도를 보여주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조금 속도에 예민하게 반응하시는 분들이 업그레이드를 하여 SSD 외장하드를 사용한다고 해도 고장 300~500MB/s 정도의 속도를 보여주는 것이 지금까지 최고의 속도였죠. 하지만 이런 속도의 갑갑함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제품, 삼성전자의 X5 가 출시되었습니다. 특히 삼성 X5 외장하드의 대표적인 장점 중 한 가지는 바로 속도.최고 읽기 속도 2800MB/s , 쓰기 속도 2,800MB/s 로 지금까지 보여주던 SSD 와는 그 격을 달리하는 속도를 보여줍니다. 그러한 속도를 보여주는 기술로는 기존의 USB3.0 이 아닌 USB C 타입의 썬더볼트3 이 탑..
PCIe 1.0 ~ 4.0의 버전에 따른 PCIe 의 전송 대역폭 입니다. 최근 다양한 종류의 SSD , M.2 NVMe 등이 출시 되면서 PCIe 를 SSD 전용으로 사용하시는 분들이 늘어나는 것이 간간히 계시더라구요. PCIe 를 사용하여 NVMe 나 M.2 SSD 를 사용하면 확실히 속도가 올라가는 것은 당연하지만, 단점이 하나 있습니다. PCIe 를 사용하여 NVMe 나 SATA 의 M.2 SSD 를 설치할 경우 운영체제 OS 의 설치가 불가능합니다. 또한 SATA 방식의 SSD 는 연결이 불가능하며 PCIe AHCI 방식, PCIe NVMe SSD 만 설치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