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구글 드라이브를 사용하다 보면 인터넷만으로 사용하는데 한계를 느끼거나, 번거로움을 느낄 때가 간혹 있습니다. 인터넷이 연결되는 장소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이 가장 대표적인데요. 요즘에는 스마트폰을 통한 테더링 기능으로 노트북, 태블릿 역시 인터넷의 한계에서 벗어나기는 했지만, 많이 번거롭습니다. 물론 테더링 을 통한 스마트폰의 데이터 역시 무시할 수 있는 시할 수준은 아닙니다.
이런 문제들을 가지고 있지만, 이렇게 구글 드라이브의 자료들을 자동으로 하드디스크에 저장, 백업한다면? 인터넷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PC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죠. 그렇게 태어난 구글 드라이브, 설치형 프로그램 입니다.
구글 드라이브 설치형 다운 링크
https://www.google.co.kr/intl/ko/drive/download/
PC용 다운로드를 누르면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GoogleDrivesync 파일을 다운로드 받았습니다. 해당 파일을 실행 하여 설치해주시면 되겠습니다.
구글 드라이브 설치형 드라이브를 설치하는 데에는 큰 용량이, 시간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10초 ~ 15초 내외로 설치가 가능합니다. 설치는 빠르지만, 공유 - 동기화에서 시간이 좀 걸리죠
구글 드라이브가 성공적으로 설치 되었습니다. 이제 구글 드라이브와 하드디스크 간의 연동을 해야하는데요. 그전에 간단한 절차들을 우선 살펴보겠습니다.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을 해줍니다. 이후 구글 드라이브의 사용 방법에 대한 간단한 설명들을 볼 수 는데요, 간단하니 천천히 읽어보시면 될 듯 합니다.
특히 구글 웹 페이지로 따로 접속하지 않고, 구글 드라이브로 지정한 폴더 내에서 공유하고자 하는 파일을 마우스 오른 클릭 – 공유 버튼을 통해 간단하게 공유 설정이 가능합니다.
첫 로그인 후 내 컴퓨터 – 구글 드라이브 간의 동기화 폴더를 선택하게 됩니다.
물론 구글 드라이브 동기화를 하기 위해선, 충분한 디스크를 용량을 요구합니다. 동기화 = 다운로드 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우선 컴퓨터에서 구글 드라이브들의 자료들을 동기화 (다운로드) 할 폴더 들을 설정해 줍니다. 되도록이면 C 드라이브는 피해서 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폴더를 설정했으면 구글 드라이브 내에 위치한 모든 항목을 동기화 할 수도 있으며, 폴더를 지정하여 특정 폴더 만 동기화 할 수도 있죠. 구글 드라이브의 전체 폴더를 공유하고 동기화 할 필요는 없습니다. 큰 파일들까지 동기화를 한다면 해당 파일을 디스크에 다운로드 받는 형식으로 싱크가 되기 때문에 하드디스크의 용량이 급격히 줄어들 수 있습니다.
폴더까지 설정해 주면 바로 인터넷을 통해 구글 드라이브 에 저장된 자료들을 하드디스크로 다운로드 받아 컴퓨터와 구글 드라이브 간의 싱크, 구글 드라이브 동기화를 실시합니다.
구글 드라이브는 우측 하단의 아이콘 트레이에서 확인이 가능하며 가장 최근에 동기화 된 파일 과 드라이브 열기, 웹으로 열기, 환경 설정 등을 하실 수 있습니다. 첫 설치 시 동기화 폴더를 지정하는데요, 이 동기화 폴더 지정은 추후에도 해당 트레이 아이콘 – 환경설정 에서 재 설정이 가능합니다.
또한 구글 드라이브를 설치하고 나면 다음과 같은 구글 문서, 스프레드 시트, 슬라이드 의 아이콘이 바탕화면에 생기는데요, 바로가기 아이콘 이기 때문에 굳이 사용하지 않는 분이시라면 삭제해도 상관 없습니다.
추후에는 MS,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지원하는 원드라이브 Onedrive 와 구글 드라이브 간의 씽크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