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Bing Image , Dall.e3 적용 이제는 2D캐릭터도 잘 만든다.

 

 

animation style woman
a the cyan blue hair color, long hair, White neck collar, black color long puffer jacket,
in the background is city with tall buildings and green park and tree

 


 

 

high quality, masterpiece, animation style woman
a the cyan blue hair color, long hair, White neck collar, black color long puffer jacket,
in the background is city with tall buildings and green park and tree,
smile 😃

 

더워보이니까 Background 프롬프트에 이어서 눈snow 도 한 번 깔아준다.

 


 

high quality, masterpiece,animation style woman
a the cyan blue hair color, long hair , White neck collar, black color long puffer jacket,
in the background is city with tall buildings and green park and tree,
the one hand a make to 'V'

 

어째서인지 일본에서 유명한 하츠네미쿠 의 캐릭터가 살짝 보이는듯도 싶다.
아마 Cyan blue 특유의 머리색이 겹치기 때문인거 같다.

그런데 안 웃는데, 역시 smile 키워드가 들어가냐 안들어가냐의 차이가 확실히 느껴지는 부분이다.

 


그럼 V도 하고, 웃어줘-

the one hand a make to 'V' +
smile 😃

 

와우. 상큼한 미소와 함께 V✌ 까지 해준다. 솔직히 이쯤되면 반할거 같다....

 


 

하지만 나랑 있을때 여자들은 늘 손에서 핸드폰을 놓지 않는다. 그래서 V 대신 스마트폰을 들고 있는 걸로 바꿨다.

on the one hand on the smartphone

 

 

 머리컬러만 핑크색으로 바꿔주었다. 바로바로 원하는 캐릭터의 클로징을 유지하면서 머리색만 빠르게 바꿔주는거...
솔직히 나보고 그리라고 했으면 초안부터 새롭게 캐릭터 잡는데 15~20분은 걸렸을 거다.

 


 

영문법 ,문단 작성에 늘 100% 맞춰야할 필요가 없다. 이미 AI 인공지능이 문맥의 의도를 얼추 파악하고 최대한 가까운 분위기로 만들어준다. 어디 공문서도 아니고, 시험도 아니지, 문법 틀렸어요- 어법 틀렸어요- 같은 지적이 필요하지 않다고 본다. 

 대부분의 씹덕질은 애니메이션 캐릭터 → 트위터나 pixiv 같은 서브컬쳐 문화에서 추가적인 이미지를 찾아봄 →  결국 내가 만들고 그리는 방향 으로의 전환인데. PNG파일이나 stock에서 판매하는 쪽이 아니라면, 그냥 소소하게 개인적으로 자캐하나 만들어서 덕질을 한다면? 이런 이제는 Bing image Create 에서 Dall.e3 를 통해 캐릭터를 만드는 것도 충분하다고 본다.

 

소신발언 한마디 하자면.... 솔직히 아래 스타일이 제가 그리던 이미지와 96% 이상 일치하는 그림체입니다. 게다가 제가 그리는 것보다 잘 그리고 빠릅니다.

 

 Dall.e3 에서는 SDXL / 스테이블디퓨저 처럼 특정한 이미지를 고정해서 캐릭터를 뽑아내는 것이 어려울지라도 사람들도 셀카를 열댓장 찍어서 잘 나온 사진 하나를 고르는 것처럼, 오... 이 캐릭터 느낌 좋다! 라고 느꼇을 때, 컨셉만 맞춰서 돌리고 돌리다보면 비슷한 화법의 캐릭터 가 꾸준히 걸리겠지 싶습니다.

 

반응형